블로그 지난 자료실 코코스학원 2021. 9. 9. 10:04
첫단추 Button Up 독해실전편12회 분석 7회 35번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3점] Different people are motivated by different things. 각기 다른 사람들은 각기 다른 것에 동기 부여를 받는다. Politicians chase after power, / bankers chase after big profits. 정치인들은 권력을 좇고, / 은행가들은 큰 이윤을 추구한다. Others may be motivated by moral ideals. 다른 이들은 도덕적인 이상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을지도 모른다 ① The main thing is that everyone is motivated by something, and / a lac..
블로그 지난 자료실 코코스학원 2021. 9. 9. 09:59
첫단추 Button Up 독해실전편12회 분석 7회 30번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It seems that it never snows on the very coldest of winter days. 가장 추운 겨울날에는 절대로 눈이 내리지 않는 것 같다. Can the weather get too ① cold to snow? 날씨가 너무 추워져서 눈이 내리지 않을 수 있을까? Can the weather get so cold that it can’t snow? Well, the colder the air is, / the less evaporated water it can hold, and / any temperature lower than 40 ..
블로그 지난 자료실 코코스학원 2021. 9. 8. 08:38
첫단추 독해실전편 분석 7회 23번(태원고1 영어내신)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Farmers in China’s Sichuan Province can no longer rely on honeybees to pollinate their fruit trees. 중국 쓰촨성의 농부들은 과실수의 기루받이를 위해 꿀벌에 더는 의존할 수 없다. depend on = rely on, resort to, draw on, fall back on, count on 의존하다(사람이 목적어), 활용하다(사물이 목적어) Instead, workers have been doing the job by hand. 대신, 일꾼들이 손으로 그 일을 해오고 있다. The Chinese farmers’ experien..
블로그 지난 자료실 코코스학원 2021. 9. 7. 08:51
첫단추 독해실전편 분석 7회 20번(태원고1 영어내신)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It has become trendy to argue that aid isn’t the solution to Africa’s troubles; this argument has its weaknesses and strengths. 원조는 아프리카가 처한 곤경에 대한 해결책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이 유행이 되고 있는데, 이 주장은 단점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aid 원조, 도움 / aids 보조장치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The weaknesses lie in the fact that aid directly saves lives ─ espec..
블로그 지난 자료실 코코스학원 2021. 9. 1. 10:02
수능감잡기 영어 11강 1번 분석(송림고 2학년 영어부교재) 2학기 중간고사는 11강 -14강까지 입니다. 로고 없는 파일 자료는 리카수니 영어카페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lthough the potential for acquiring a truly global education has never been greater, / actually achieving it / requires more than simply “being there.” 참으로 세계화된 교육을 습득하는 것에 대한 ‘잠재력’이 더 컸던 적은 결코 없었지만, / 실제로 그것을 달성하는 것은 / 단순히 ‘그곳에 있는 것’ 이상을 필요로 한다. Much depends on / whether..